비인과적 연결 원리, 작은 새가 내게 말했다
《오 하나 인피니티, 소환된 미래 기억》
조관용 미술평론가, 2022 창원조각비엔날레 총감독
삶은 그 자체로 거대한 데자뷰이다.
우리는 살고 또 살고, 역사는 반복하고 또 반복한다.
과거, 현재, 미래는 어깨동무를 하고 함께 흘러간다.
반복해야 할 이유가 소멸될 때 까지
- 동시성, 데이비드 윌콕
논리적인 개연성은 없다. 그의 작업들을 육체적인 시선으로 관찰하고, 인지적인 사유로 바라보면. 벌거벗은 몸뚱이들이 산과 같이 쌓여 있는 형상들, 사방에서 저 멀리 소실점을 향해 달려가는 기차의 영상들, 돌, 물, 구름과 함께 허공과 한 덩어리를 이루는 파편화된 형상, 물방울 소리와 함께 터널 저편에 푸른빛을 내는 중앙의 전구 더미......
그의 작업들을 관통하는 서사는 무엇일까? 그의 작업은 인간과 자연의 대상들을 관찰을 통해 그려내는 형상의 세계는 아니다. 그의 작업은 사람과 사람들, 사람들과 자연의 생명체들 간의 비인과적으로 연결된 심리적 사건들을 형상으로 그려내고 있다. 즉 그의 작업은 “우리 모두가 마음속에서 모든 것을 공유하면서 근본적으로 연결되어 있다”1)는 융(Jung)의 집단무의식의 세계를 탐험하고 있다.
우리가 12.3 계엄 이후에 과거의 트라우마적인 심리적인 현상을 매일 되풀이하고 있는 것 같이 송창애 작가의 의식 세계에서 과거, 현재, 미래는 인과적으로 흐르지 않는다. 《심음, 과거는 왜 지나가지 않는가》라는 작업의 제목과 같이 우리의 의식 속에서 과거는 현재가 되고, 미래는 과거가 된다.
《MæSS, 우리는 무엇이며,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의 작업을 빌려 작가는 이렇게 묻는다. 미국의 아부 그라이브 포로학대 사건, 911테러, 5.18민주화 운동, 세월호 참사, 그리고 전 세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각종 사건들은 우리의 의식과는 무관한 것인가? 작가에 의하면 무릉도원의 세계는 우리가 구축한 하나의 허구의 패러다임이며, 우리가 물질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거실에 놓인 화분, 냉장고에서 꺼낸 무정란과 시금치, 요구르트의 유산균, 개수대에 사는 박테리아......살아 있는 모든 것들은 함께 고통을 나눈다.”2)고 말하고 있는 것처럼 우리와 생명을 공유하는 존재일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하나의 푸른 물방울(물꽃)은 《물로 쓴 時》에서 독립된 각 개체를 의미하며, 물소리와 지하 전시 공간과 복도를 메우고 있는 깊고 푸른 강은 물방울의 각개의 개체들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의 일부로서 존재하는 것임을 비유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그렇다면 분리된 개체로 살아가는 인간이 전체의 일부라고 자각하는 순간은 언제일까? 그것은 작가가 “천개의 눈물&천개의 일상”의 전시에서 타인을 향한 연민의 순간, 즉 데이비드 윌콕에 의하면 “타아를 용서하는 것이 자아를 용서하는 것이며, 타인을 향한 사랑의 순간”3)일지도 모른다.
1) 데이비드 윌콕, 동시성-당신과 우주를 이끄는 숨겨진 지성, 옮긴이 장은재, 라의 눈, 2023, p.65.
2) 데이비드 윌콕, 소스필드, 박병오 옮김, 라의 눈, 2017, p.27.
3) 데이비드 윌콕, 동시성, p.94.
Principle of Acausal Connection: A Little Bird Told Me
《One Infinity, Summoned Future Memory》
Kwan-Yong Cho, Art Critic
Life itself is a vast déjà vu.
We live, relive, and history repeats—again and aga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walk side by side until the reason for repetition dissolves.
— Synchronicity, David Wilcock
There is no logical causality in her work—not when observed through the physical eye, nor when approached with rational thought. Naked bodies pile like mountains; trains rush toward distant vanishing points from every direction; fragmented figures become one with air, stones, water, and clouds. Droplets echo, and a mass of lightbulbs emits a dim blue glow at the far end of a tunnel...
What narrative thread runs through these works? They do not depict the external world through observation of forms in nature or humanity. Instead, they embody psychological events—acausally connected—between people, and between humans and the living world. Her work explores the realm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where “we are all fundamentally connected, sharing everything from within” (David Wilcock, The Synchronicity Key, trans. Eunjae Jang, La’s Eye, 2023, p. 65), echoing the spirit of Carl Jung’s theories.
In Song Chang Ae’s inner world, the past, present, and future do not unfold in linear time. Much like how we relive past traumas since the martial law incident of 12.3, temporality in her works resists causality. As the title of her piece Sim-Eum: Why Doesn’t the Past Pass? implies, the past becomes the present, and the future loops into the past in the realm of consciousness.
Through works like MæSS: Who Are We, Where Do We Come From, and Where Are We Going, the artist poses critical questions: Are the events that shape our world—the Abu Ghraib prison abuses, the 9/11 attacks, the May 18 Gwangju Uprising, the Sewol Ferry disaster—truly disconnected from our own consciousness? For Song, the idyllic utopia is a constructed fiction, and materiality itself is a shared experience of pain. As Wilcock writes in The Source Field Investigations (trans. Byung-O Park, La’s Eye, 2017, p. 27), “The flowerpot in your living room, the unfertilized egg and spinach in your fridge, the lactobacillus in your yogurt, the bacteria in your sink... All living things suffer together.”
A single drop of blue water (Waterflower) in Poetry Written in Water symbolizes an individual life form. But the deep, flowing blue river filling the underground gallery and corridors reminds us that no droplet exists in isolation—it is part of a greater whole. So when do we, as separate beings, recognize ourselves as fragments of that whole? Perhaps it is in the moment of empathy—the same moment explored in A Thousand Tears &A Thousand Days—when one turns their heart toward another. In Wilcock’s words, “To forgive the other is to forgive the self; the moment of love for another is the moment of love for oneself” (The Synchronicity Key, p.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