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송창애 작가는 숙명여자대학교에서 한국화를 전공하고 미국 오리건 대학(Univ. of Oregon, OR)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타 문화권에서의 삶의 경험은 송창애 작가로 하여금 동양과 서양의 미적 시선과 미적 감각의 근본적인 차이를 깊이 자각하는 계기가 되었고, 현재의 자기 정체성을 이루는 근원적인 것들에 대한 탐구의 시발점이 되었다. 특히, 시시각각 변하는 외부 세계에 대한 이미지의 재구축과 재생산이 아닌, 외부 환경에 대한 내면세계의 마찰과 반응에 주목하고, 이에 따른 감각과 인식의 변화를 통해 의식의 진화를 도모하는 ‘세계-내-존재’ 행위자로서의 예술의 길을 걷게 되었다. 귀국 후 홍익대학교에서 동양화 박사 과정(Ph.D.)을 거치며 자신의 미적 DNA의 원형을 찾아 한국 전통 사상과 미의식을 기반으로, 현대적 조형어법을 접목하여 자신만의 독자적인 물의 예술세계를 구축하였다. 직관, 무의식, 우연성, 양의성, 신체, 행위의 개념은 그녀가 고민해온 감각과 인식의 간극을 해소하고 존재와 세계, 삶과 예술의 불연속성을 하나로 통합하는 주요한 단서들이다.

 

최근에는 물로써 (만)물을 그리는 〈워터스케이프〉 회화 연작을 한 축으로, 회화 예술과 디지털 기술의 접목을 통해 관객에게 실제와 가상, 물질과 비물질,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경계를 넘나드는 새로운 공감각적 예술의 경험을 선사하는 〈워터 오디세이〉 미디어아트를 탐구하고 있다. 〈워터스케이프〉가 물의 감성을 강조하는 서정시라면, 〈워터 오디세이〉는 우주 생명과 정신의 공진화를 모색하는 서사시라고 할 수 있다. 기술이 지배하는 포스트 휴머니즘 시대를 맞아 자연과 인간, 기술의 관계와 상호 작용성에 대해 관심을 갖고, 이것이 미래 사회의 인간 본성에 미칠 영향과 예술의 역할에 대해 고민하고 질문을 던지는 작업을 하고 있다.

 

송창애 작가는 현재 자신의 작업 세계에서 조형의 기본 단위로 삼고 있는 ‘물꽃’ 원형상에 대해 초기 창작 단계에서 무의식적으로 잉태된 시각적 산물이라고 한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 먼 거리에서 바라보니 이것이 하나의 점이라는 사실을 자각하게 되었다고 한다. 지름 3미터에 달하는 물꽃 그림의 원형 구조가 마치 우주에서 바라본 지구(Blue pale dot)와 같은 존재임을 최근 미디어아트 작업을 하며 깨달았다고 한다. 지난 10여 년간 말로 설명할 수 없는 어떤 이끌림에 의해 물꽃 그림을 시작하게 되었고 마치 수행적 행위와 같이 다작의 물꽃을 그렸다. 외부 시각으로 볼 때, 자칫 자기 복제를 위한 동어반복적 작업으로 치부될 수 있었으나 스스로 해결하지 못한 미궁의 해답을 찾기 위해 묵묵히 작업에 몰입했고, 이내 하나의 ‘물꽃’이 수많은 ‘물꽃 씨알’로 탄생해 현재의 미디어아트 작업의 주요한 토대를 마련하게 된 것이다. 하나의 특이점(Singularity)을 중심으로 응축과 발산의 에너지 작용이 일어나며 현재 송창애 작가의 물의 예술세계가 펼쳐졌다. 따라서 송창애 작가에게 물꽃은 육화된 영혼의 조형적 산물이며, 모든 생명과 존재의 원형을 은유하는 하나의 표상이다.

 ......

송창애(b. 1972, 서울, 한국)는 현재  파주에 살며 파주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현대미술가다. 1995년에는 숙명여자대학교에서 한국화과를 졸업하고, 첫 MFA 학위를 받았다. 이후 2008년에는 미국 오레곤 대학교에서 페인팅 및 드로잉 전공으로 두 번째 MFA 학위를 취득했으며, 2012년에는 홍익대학교 동양화과 박사학위를 수여하였다. 송창애 작가는 한국 예술위원회, Art & Tech, Seoul, Korea(2021, 2022, 2023)에서 Art & Technology Convergence_Type1, 2, 3; 서울로 미디어캔버스의 네이처 프로젝트(2021); 서울문화재단과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예술창작 및 시각예술 지원금(2011); 미국 뉴욕의 Pollock-Krasner 재단 보조금(2011); 그리고 Anderson Ranch Artists-in-Residence Program: Full Fellowships in Colorado, USA(2009) 등에서 지원금을 받은 바 있다. 또한 그녀의 작품은 1998년 과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제17회 대한민국미술대전에서 한국화 부문 1위를 수상하며, 국립현대미술관, 영은미술관, 제주현대미술관, 용인세브란스병원, 타코마미술관, 미국 워싱턴 및 ACRS(미국 워싱턴의 Asian Counseling and Referral Service)에서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Artist Chang Ae Song pursued her education in Korean painting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furthered her studies with a master's degree from the University of Oregon in USA. Immersing herself in a different culture, Song deeply grasped the stark contrasts in aesthetic perspectiv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his experience ignited her journey of self-discovery, focusing not on replicating the external world but delving into the internal realm, aiming for a consciousness evolution triggered by shifts in sensation and perception. This marked the inception of her artistic pursuit as an embodiment of 'existence'. Upon her return to Korea, she embarked on a doctoral degree in Oriental painting (Ph.D.) at Hongik University. Here, she unearthed the core essence of her aesthetic DNA, crafting her distinct world of water art by infusing modern formative language with traditional Korean ideas and aesthetic consciousness. Concepts such as intuition, unconsciousness, contingency, ambivalence, body, and action served as pivotal clues in bridging the gap between sensation and perception, thus harmonizing the disconnect between existence and the realms of life and art.

 

In recent times, Song's <Waterscape> painting series, portraying water with real water, stands as a central axis of her artistic exploration. Through the fusion of painting art and digital technology, viewers are exposed to a transformative experience that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the tangible and the virtual, the material and the immaterial, and the analog and the digital. Delving deeper, Song ventures into the realm of media art with "Water Odyssey," offering spectators a synesthetic journey. While "Waterscape" resembles a lyrical poem, accentuating the sensitivity of water, "Water Odyssey" emerges as an epic narrative, aspiring for the co-evolution of life and spirit in the universe. Amidst the era of post-humanism dominated by technology, Song delves into the intricate relationship and interactivity among nature, humanity, and technology. Through her work, she prompts contemplation on the potential impacts on human nature in future society, as well as the evolving role of art.

 

Artist Chang Ae Song describes the 'water flower' archetype, now a fundamental element in her artistic repertoire, as a visual creation born from the unconscious depths of her creative process. However, upon reflection and distance, she came to perceive it as merely a single dot within a larger context. Recently, while immersed in her media art endeavors, Song had an epiphany: the circular structure of her 3-meter diameter water flower paintings resembled the Earth, a blue pale dot when viewed from space. Over the past decade, Song's fascination with painting water flowers led her to produce a multitude of them, almost as if engaged in a performative act. While this prolific output may have seemed repetitive to an outsider, Song silently delved into her work, seeking answers to the labyrinthine questions that eluded her grasp. This dedicated exploration gave rise to numerous 'water flower seeds', laying the groundwork for her current media art projects. This process of condensation and divergence, revolving around a singular point, forms the essence of Song's evolving world of water art. For Song, water flowers transcend mere artistic products; they embody the essence of an incarnated soul and serve as metaphorical symbols for the archetype of all life and existence.

......

Chang Ae Song (b. 1972, Seoul, Korea) is a contemporary artist based in Paju, Korea. She received her BFA in Korean Painting (1995) and her first MFA (1997) from Sookmyung Women’s University in Seoul, Korea. In 2008, she earned her second MFA in Painting & Drawing from the University of Oregon in Oregon, USA, where she was also a recipient of the School of Architecture & Allied Arts Dean’s Graduate Fellowship in Art. She completed her Ph.D. in Oriental Painting at Hong Ik University in Seoul, Korea in 2012. Song has received numerous grants and fellowships, including  Art & Technology Convergence_Type1, 2, 3 from Korea Arts Council, Art & Tech, Seoul, Korea (2021, 2022, 2023); the Nature Project from Seoullo Media Canvas in Seoul, Korea (2021); the Grant for Arts Creation & Visual Arts from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and Arts Council Korea in Seoul, Korea (2011); the Pollock-Krasner Foundation Grant in New York, USA (2011); and the Anderson Ranch Artists-in-Residence Program: Full Fellowships in Colorado, USA (2009), among others. Her work has been recognized with awards such as the 1st Prize in Korean painting at the 17th Grand Art Exhibition of Korea at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Kwachon, Korea (1998). Song's work can be found in various public collections, including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 Modern Art and Youngeun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Korea, Jeju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Jeju, Korea, Yongin Severance Hospital in Yongin, Korea, Tacoma Art Museum in Washington, USA, and ACRS: Asian Counseling and Referral Service in Washington, USA.

bottom of page